공무원 관련규정. 법령정보10 공무원 병가 - 진단서 없이 연간 6일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[시행 2018. 12. 18.] [대통령령 제29375호, 2018. 12. 18., 일부개정] 제17조(연가 일수에서의 공제) ⑤ 제18조제1항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뺀다. 다만,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병가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빼지 아니한다. [전문개정 2011. 7. 4.] 제18조(병가) ①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에는 연 60일의 범위에서 병가를 승인할 수 있다. 이 경우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누계 8시간을 병가 1일로 계산하고, 제17조제5항에 따라 연가 일수에서 빼는 병가는 병가 일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. 1.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.. 2019. 11. 5. 국가공무원 수당체계 공무원 보수 등의 업무지침 제7장 공무원 수당 등의 업무 처리기준 [국가공무원 수당체계] 2019. 11. 5. 공무원 출산휴가 육아휴직 시기를 정할 때 성과급 지급 조건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[시행 2019. 7. 1.] [대통령령 제29450호, 2018. 12. 31., 타법개정] ⑧ 성과상여금 등의 지급기준, 지급범위 및 지급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범위에서 소속 장관이 정한다. 국가법령정보센터 | 법령 > 본문 -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[시행 2019. 7. 1.] [대통령령 제29450호, 2018. 12. 31., 타법개정]www.law.go.kr 공무원보수 등의 업무지침[시행 2019. 1. 25.] [인사혁신처예규 제67호, 2019. 1. 25., 일부개정] V. 성과연봉 운영기준1. 지급대상 지급기준일 현재 실제로 근무한 기간이 2개월 미만인 자는 현원에는 포함하되, 최하위순위에 배치하고 성과연봉을.. 2019. 11. 5.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 내 근평(공무원 성과평가) 기준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지침 [시행 2019. 6. 28.] [인사혁신처예규 제74호, 2019. 6. 28., 일부개정] 5.4. 최종평가 (1) 평가시기 ○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다음해 초에 평가(1월말~2월초에 평가 완료) (5) 성과계약등 평가의 예외 1) 실제 근무 기간이 2개월 미만인 경우 (영 제11조1항) ○ 평가대상 공무원이 평가대상기간 중 휴직, 직위해제나 그 밖의 사유*로 실제 근무한 기간이 2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성과계약 등 평가에서 제외함 * ‘그 밖의 사유’ 로는 교육훈련 파견, 교육훈련 이수 후 대기, 공무상 병가, 휴가(연가, 병가, 공가, 특별휴가) 등 포함 6. 근무성적평가의 예외(영 제17조) (2) 파견된 경우 등의 평가 ④ 평가대상 공무원이 평가대상기간 중 법.. 2019. 11. 5. 이전 1 2 3 다음